-----
-----
presented by LADY BUGS
Solanas X Kang
-----
-----
-----
-----
-----
Written by Valerie Solanas (벨라리 솔라나스, 1967)
Translated by Leo Kang (강래우, 2025)
Image produced by Leo Kang (강래우, 2025)
-----
-----
-----
-----
-----
-----
PART 1
DIVINE MADNESS AND THE MAGIC WORLD
-----
Chapter 1 [1-30] Note:
Throughout history, people have looked at those with extraordinary talents or actions and said, “That person is completely mad.” Without madness, one cannot break free from the ordinary; without madness, one cannot reach a higher state. Plato referred to this divinely bestowed, almost spirit-driven manifestation of madness as divine madness (θεῖος μανία). It is an irrational yet inspired state that breaks social norms and connects one to a higher truth. Divine madness encompasses prophetic, poetic, transgressive, and chaotic forms. Valerie Solanas’ SCUM Manifesto, like the expression of such divine madness, unleashes radical critiques, filled with rage and accurate expression, aimed at male-oriented patriarchy, while envisioning a "magical world" where such norms are reimagined. Could this vision embody the transformative state of divine madness? Or does its sharp satire and materialist focus resist such a mystical interpretation?
역사 속에서 사람들은 뛰어난 재능이나 행동을 가진 이들을 보고 “저 사람은 완전히 미쳤다”고 말해왔다. 미치지 않고서는 평범함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미치지 않고서는 더 높은 상태에 이를 수 없다. 플라톤은 이러한 신성하게 부여된, 거의 영적 동기에 의해 나타나는 미친 상태를 ‘신적 광기’(θεῖος μανία)라고 불렀다. 이것은 비합리적이면서도 영감을 주는 상태로, 사회적 규범을 깨고 더 높은 진리와 연결된다. 이러한 신적 광기 상태는 예언적, 시적, 범법적, 혼돈적인 형태를 포괄한다. 벨라리 솔라나스의 《SCUM 매니페스토》는 이러한 광기 처럼, 분노 어린 칼날같은 표현으로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에 대한 급진적인 비판을 쏟아내며, 그러한 규범들이 새롭게 재구성되는 "마법의 세계"를 상상한다. 이 비전이 신적 미친 상태의 변혁적 성격을 담고 있을 수 있을까? 아니면 그 날카로운 풍자와 물질주의적 초점이 그러한 신비적인 해석을 저항하는 것일까?
-----
-----
[1] Life in this society being, at best, an utter bore and no aspect of society being at all relevant to women, there remains to civic-minded, responsible, thrill-seeking females only to overthrow the government, eliminate the money system, institute complete automation and destroy the male sex.
이 사회에서의 삶이란 기껏해야 지루하기 짝이 없고, 사회의 어떤 측면도 여성의 삶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시민의식이 있고, 책임감이 강하고, 스릴을 추구하는 여성들이 결국 할 수 있는 일이란: 정부를 전복하고, 화폐 시스템을 제거하고, 완전한 자동화를 도입한 뒤, 남성성을 완전히 박살내는 것뿐이다.
-----
-----
[2] It is now technically feasible to reproduce without the aid of males (or, for that matter, females) and to produce only females. We must begin immediately to do so. Retaining the male has not even the dubious purpose of reproduction. The male is a biological accident: the Y (male) gene is an incomplete X (female) gene, that is, it has an incomplete set of chromosomes. In other words, the male is an incomplete female, a walking abortion, aborted at the gene stage. To be male is to be deficient, emotionally limited; maleness is a deficiency disease and males are emotional cripples.
현재 인간은 남성의 도움 없이도 (심지어 여성의 도움 없이도) 재번식이 가능하며, 오로지 여자만으로 인류를 번식 시킬 수 있다. 우리는 이것을 즉시 시행해야 한다. 남성성을 남겨두는것은 재생산이라는 애매한 목적에도 맞지 않는다. 남성성이란 그저 생물학적 재앙일 뿐이다: Y(남성) 유전자는 불완전한 X(여성) 유전자이며, 애초부터 불완전한 염색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남성은 불완전한 여성으로, 유전자 단계에서부터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생물이라는 것이다. 남성이라는 것은 어딘가 부족하고 정서적으로 제한되어 있는 존재이며, 남자가 된다는건 결핍병에 걸리는 과정이며, 남성성이란 결국 정서적 장애를 뜻한다.
-----
-----
[3] The male is completely egocentric, trapped inside himself, incapable of empathizing or identifying with others, or love, friendship, affection of tenderness. He is a completely isolated unit, incapable of rapport with anyone. His responses are entirely visceral, not cerebral; his intelligence is a mere tool in the services of his drives and needs; he is incapable of mental passion, mental interaction; he can't relate to anything other than his own physical sensations. He is a half-dead, unresponsive lump, incapable of giving or receiving pleasure or happiness; consequently, he is at best an utter bore, an inoffensive blob, since only those capable of absorption in others can be charming. He is trapped in a twilight zone halfway between humans and apes, and is far worse off than the apes because, unlike the apes, he is capable of a large array of negative feelings -- hate, jealousy, contempt, disgust, guilt, shame, doubt -- and moreover, he is aware of what he is and what he isn't.
남자들은 완전히 자기 중심적이며, 자신 안에 갇혀 살고 있으므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진정 공감하거나 알아차리것, 즉 진정한 사랑과 우정을 만들지 못한다. 남자란 완전히 고립된 존재로, 누구와도 진심을 나누는 관계를 형성할 수 없다. 남자들은 전적으로 본능적이며, 그들이 하는 지적 활동 역시 그저 자신의 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도구일 뿐이다. 남자들은 불타는 열정을 가질 수 없고, 누군가와 마음을 나눌 수 없으며, 자신의 신체적 감각 외에는 거의 아무것도 느낄 수 없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남자란 반쯤 시체같은 무감각한 덩어리이라 볼 수 있고, 즐거움이나 행복을 주거나 받을 수 없는 존재이다. 따라서 최상의 남자라 할지라도 대부분 지루하고, 그저 큰 해를 끼치지 않는 존재일 뿐이다. 왜냐하면 타인의 마음에 몰입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존재만이 진정 매력적일 수 있기 때문에, 남자라는 존재는 태생적으로 매력적일 수가 없다. 남자는 인간과 원숭이의 사이의 중간지점쯤에 갇혀 있는 존재이며, 어떤 면에서는 원숭이보다 더 해롭고 악하다고 볼 수 있다. 원숭이와 달리 남자 인간들은 증오, 질투, 경멸, 혐오, 죄책감, 수치심, 의심 등 다양한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더구나 자신이 무엇인지와 무엇이 아닌지를 인식하고 있다.
-----
-----
[4] Although completely physical, the male is unfit even for stud service. Even assuming mechanical proficiency, which few men have, he is, first of all, incapable of zestfully, lustfully, tearing off a piece, but instead is eaten up with guilt, shame, fear and insecurity, feelings rooted in male nature, which the most enlightened training can only minimize; second, the physical feeling he attains is next to nothing; and third, he is not empathizing with his partner, but is obsessed with how he's doing, turning in an A performance, doing a good plumbing job. To call a man an animal is to flatter him; he's a machine, a walking dildo. It's often said that men use women. Use them for what? Surely not pleasure.
설령 완벽히 건장한 남자라도, 재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설령 기계적 능력을 갖춘 남자라 해도, 그들은 일단 열정적이고 순수한 욕정으로 성적 활동을 할 수 없다. 그대신 죄책감, 수치심, 두려움, 불안등 남성성 그 자체에 뿌리를 둔 감정에 항상 시달리며, 스스로 깨어나려고 노력한다 한들 이러한 감정들을 그저 최소화할 수 있을 뿐이다. 남자들이 신체적 쾌락 뒤에 추구하는 것은 사실 아무것도 없으며, 파트너와의 공감보다는 자신이 섹스를 잘했는지 걱정하고, 떡을 잘 친다는 소리를 듣기 위해 온갖 노력을 한다. 솔직히 남자를 동물이라고 부르는 것도 가당치 않다. 남자는 그저 기계 같은 존재이며, 걸어다니는 딜도(dildo) 라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말하길 남자들이 여자들을 이용한다고 한다. 당신은 그것이 무엇을 위해서라고 생각하는가? 확실한건 쾌락을 위해서가 아니라는 것이다.
-----
-----
[5] Eaten up with guilt, shame, fears and insecurities and obtaining, if he's lucky, a barely perceptible physical feeling, the male is, nonetheless, obsessed with screwing; he'll swim through a river of snot, wade nostril-deep through a mile of vomit, if he thinks there'll be a friendly pussy awaiting him. He'll screw a woman he despises, any snaggle-toothed hag, and furthermore, pay for the opportunity. Why? Relieving physical tension isn't the answer, as masturbation suffices for that. It's not ego satisfaction; that doesn't explain screwing corpses and babies.
죄책감, 수치심, 두려움, 불안에 항상 시달리며, 운이 좋을지라고 그저 찰나의 신체적 쾌감만을 얻을 뿐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자들은 여자와 섹스하는것에 어마어마한 집착을 한다. 남자들은 여자와 섹스를 할 수 있다면 콧물이 가득한 강을 헤엄쳐 가고, 코 높이 만큼 구토가 쌓여 있는 길을 헤집고 나아간다. 남자들은 자신이 경멸하는 여자, 또는 못생긴 노파 할지라도도 섹스를 하려고 하며, 심지어 그 기회를 얻기 위해 돈을 내기도 한다. 도대체 왜 그럴까? 그것은 신체적 긴장을 풀기 위함이 아니다. 왜냐하면 신체적 긴장은 자위로도 충분히 해결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아 만족 또한 아니다; 그걸로는 도대체 남자들이 왜 시체를 간음하거나 갓난아기를 강간하는지를 설명해 주지 못한다.
-----
-----
[6] Completely egocentric, unable to relate, empathize or identify, and filled with a vast, pervasive, diffuse sexuality, the male is psychically passive. He hates his passivity, so he projects it onto women, defines the make as active, then sets out to prove that he is (`prove that he is a Man'). His main means of attempting to prove it is screwing (Big Man with a Big Dick tearing off a Big Piece). Since he's attempting to prove an error, he must `prove' it again and again. Screwing, then, is a desperate compulsive, attempt to prove he's not passive, not a woman; but he is passive and does want to be a woman.
완전히 자기 중심적이고, 진심 어린 관계를 형성하거나 타인의 마음을 공감하거나 알아차리지 못하고, 또한 집착에 가까운 성적 욕망으로 가득 찬 남자들 - 그들의 정신/심리상태는 기본적으로 수동적이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의 수동성을 싫어하기 때문에 이를 여자들에게 투사하고, 그것을 능동적 남성성이라고 정의한 다음, 그것으로 통해 자신이 진정한 남자임을 증명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를 증명하려는 주된 방법은 여자를 따먹는 행위이다 (‘거대한 남자가 거대한 좆으로 거대한 그곳을 찢는다'라면서...). 애초부터 잘못된 생각을 증명하려고 하니, 그것은 끊임없는 집착으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남자에게 있어서 섹스란 본인이 수동적이지 않고, 여성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려는 절박한 시도이고, 또한 강박적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
-----
[7] Being an incomplete female, the male spends his life attempting to complete himself, to become female. He attempts to do this by constantly seeking out, fraternizing with and trying to live through an fuse with the female, and by claiming as his own all female characteristics -- emotional strength and independence, forcefulness, dynamism, decisiveness, coolness, objectivity, assertiveness, courage, integrity, vitality, intensity, depth of character, grooviness, etc -- and projecting onto women all male traits -- vanity, frivolity, triviality, weakness, etc. It should be said, though, that the male has one glaring area of superiority over the female -- public relations. (He has done a brilliant job of convincing millions of women that men are women and women are men). The male claim that females find fulfillment through motherhood and sexuality reflects what males think they'd find fulfilling if they were female.
불완전한 존재인 남자들은 자신의 삶을 여성으로서 완성되기 위해 보낸다. 남자들은 이를 위해 끊임없이 여자들에게 찝접거리고, 여성과 함께 살려고 하며, 여성들만이 가지는 특성 - 감정적 강인함과 독립성, 강력함, 역동성, 결단력, 냉정함, 객관성, 단호함, 용기, 정직성, 생명력, 강렬함, 깊이 있는 성격, 멋짐 등- 을 자신의 것으로 삼고, 남성의 모든 특성 - 자만심, 경솔함, 사소함, 약함 등- 을 여성에게 투사하려 한다. 그러나 남성에게는 여성 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는 점이 하나 있다. 그건 바로 사회적 관계이다. (그들은 남성이 곧 여성이고 여성은 남성이라며 그동안 수백만 명의 여성들을 설득하는 데 성공해왔다) 남자들은 여자들에게 '결국 여자라는 동물은 어머니가 되어 자식을 낳고, 성적인 충족을 통해 삶의 만족을 얻는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것은 남성이 자신이 아마 여자라면 그렇게 만족을 느낄 것이라는 착각을 반영할 뿐이다.
-----
-----
[8] Women, in other words, don't have penis envy; men have pussy envy. When the male accepts his passivity, defines himself as a woman (males as well as females think men are women and women are men), and becomes a transvestite he loses his desire to screw (or to do anything else, for that matter; he fulfills himself as a drag queen) and gets his dick chopped off. He then achieves a continuous diffuse sexual feeling from `being a woman'. Screwing is, for a man, a defense against his desire to be female. He is responsible for:
다시 말해서, 여성들들은 음경에 대한 열망이 없다. 하지만 남성들은 보지를 열망한다. 만약 한 남자가 자신의 수동성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여성으로 정의하며 (남성과 여성 모두 남성을 여성으로, 여성을 남성으로 생각한다고 주장됨) 트랜스젠더가 되었을 때, 그는 여자와의 섹스에 대한 욕망을 잃게 된다 (아니면 다른 모든 것에 대한 욕망을 잃게 된다; 그는 드랙퀸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충족시킨다). 그리고 그의 성기를 잘라낸다. 그는 그 후 '여성으로 존재하는 것'에서 지속적이고 확산된 성적 느낌을 경험한다. 그러므로 남자에게 섹스란 결국 여자가 되고 싶어하는 욕망에 대한 방어 수단이다. 그렇게 때문에, 남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것에 책임이 있다.
-----
-----
[9] War: The male's normal compensation for not being female, namely, getting his Big Gun off, is grossly inadequate, as he can get it off only a very limited number of times; so he gets it off on a really massive scale, and proves to the entire world that he's a `Man'. Since he has no compassion or ability to empathize or identify, proving his manhood is worth an endless amount of mutilation and suffering and an endless number of lives, including his own -- his own life being worthless, he would rather go out in a blaze of glory than to plod grimly on for fifty more years.
전쟁: 남자들은 자신들이 여성이지 않다는 것에 대한 보상으로서 하는 행동은 자신의 큰 물건(무기)를 꺼내 놓는 것인데, 구역질나게 남자들은 보통 거기서 멈추지 않는다. 왜냐하면 물건은 매우 제한된 횟수만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그것을 정말로 대규모로 사용하여 전 세계에 자신이 진짜 '남자'임을 보여주려고 한다. 그는 공감하거나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남성성을 증명하기 위해 끝없는 훼손과 고통, 그리고 자신의 생명을 포함한 무수한 생명들을 희생하는 것이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본인의 인생이 무의미하다고 느끼기 때문에, 차라리 50년을 더 우울하게 살아가는 것보다 영광의 불길 속에서 사라지기를 원한다.
-----
-----
[10] Niceness, Politeness, and `Dignity': Every man, deep down, knows he's a worthless piece of shit. Overwhelmed by a sense of animalism and deeply ashamed of it; wanting, not to express himself, but to hide from others his total physicality, total egocentricity, the hate and contempt he feels for other men, and to hide from himself the hate and contempt he suspects other men feel for him; having a crudely constructed nervous system that is easily upset by the least display of emotion or feeling, the male tries to enforce a `social' code that ensures perfect blandness, unsullied by the slightest trace or feeling or upsetting opinion. He uses terms like `copulate', `sexual congress', `have relations with' (to men sexual relations is a redundancy), overlaid with stilted manners; the suit on the chimp.
친절함, 예의, 그리고 ‘위엄’: 모든 남자는, 마음속 깊이, 자신이 한심한 쓰레기 새끼라는 것을 알고 있다. 동물적인 본성에 압도당하고, 그에 대해 깊이 수치심을 느끼며, 자신을 표현하고 싶어하기보다는 자신의 완전한 육체성, 완전한 자기중심성, 다른 남성들을 향한 증오와 경멸을 감추고 싶어 한다. 또한, 다른 남성들 역시 자신을 증오하고 경멸할 것이라는 의심에서 벗어나고 싶어 한다. 조잡하게 구축된 신경계는 사소한 감정 표현에도 쉽게 흔들리기에, 남성은 감정이나 의견의 흔적조차 없는 완벽한 밋밋함을 보장하는 ‘사회적’ 규범을 강요하려 한다. 그는 ‘교접하다’, ‘성적 교류를 하다’, ‘관계를 맺다’ (남자들에게 성적 관계란 중복된 표현일 뿐) 같은 단어를 사용하며, 어색한 예법을 덧 씌운다. 마치 침팬지에게 정장을 입히듯이.
-----
-----
[11] Money, Marriage and Prostitution, Work and Prevention of an Automated Society: There is no human reason for money or for anyone to work more than two or three hours a week at the very most. All non-creative jobs (practically all jobs now being done) could have been automated long ago, and in a moneyless society everyone can have as much of the best of everything as she wants. But there are non-human, male reasons for wanting to maintain the money system:
돈, 결혼과 매춘, 일과 자동화 사회 통제: 돈을 위해서건, 남을 위해서건, 인간은 일주일에 2-3시간 이상 일할 이유가 전혀 없다. 모든 창의적이지 않은 직업 (현재 존재하는 대부분의 직업들)은 이미 오래전에 자동화될 수 있었고, 돈이 없는 사회에서는 누구나 원하는 만큼 최고의 것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돈 시스템을 유지하려는 비인간적, 남성적인 이유가 있다:
-----
-----
[12] 1. Pussy. Despising his highly inadequate self, overcome with intense anxiety and a deep, profound loneliness when by his empty self, desperate to attach himself to any female in dim hopes of completing himself, in the mystical belief that by touching gold he'll turn to gold, the male craves the continuous companionship of women. The company of the lowest female is preferable to his own or that of other men, who serve only to remind him of his repulsiveness. But females, unless very young or very sick, must be coerced or bribed into male company.
1. 보지: 자신의 불충분함을 경멸하며, 공허한 자아와 함께할 때 강한 불안과 깊은 외로움에 휩싸여, 자신을 완성할 수 있기를 희망하며, 금을 만지면 자신도 금으로 변할 것이라는 신비적 믿음 속에서, 남성은 여성과의 지속적인 접촉과 동반을 갈망한다. 남자들은 자신의 동료나 다른 남성과 함께할 시간을 보낼 빠엔, 차라리 최악의 여자와 함께 하기를 바란다. 다른 남성들과의 시간은 오직 자신의 혐오감을 되새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자들은 매우 어리거나, 매우 아프지 않은 이상, 강요되거나 뇌물로 유인되어야지만 남자들와 함께 한다.
-----
-----
[13] 2. Supply the non-relating male with the delusion of usefulness, and enable him to try to justify his existence by digging holes and then filling them up. Leisure time horrifies the male, who will have nothing to do but contemplate his grotesque self. Unable to relate or to love, the male must work. Females crave absorbing, emotionally satisfying, meaningful activity, but lacking the opportunity or ability for this, they prefer to idle and waste away their time in ways of their own choosing -- sleeping, shopping, bowling, shooting pool, playing cards and other games, breeding, reading, walking around, daydreaming, eating, playing with themselves, popping pills, going to the movies, getting analyzed, traveling, raising dogs and cats, lolling about on the beach, swimming, watching TV, listening to music, decorating their houses, gardening, sewing, nightclubbing, dancing, visiting, `improving their minds' (taking courses), and absorbing `culture' (lectures, plays, concerts, `arty' movies). Therefore, many females would, even assuming complete economic equality between the sexes, prefer living with males or peddling their asses on the street, thus having most of their time for themselves, to spending many hours of their days doing boring, stultifying, non-creative work for someone else, functioning as less than animals, as machines, or, at best -- if able to get a `good' job -- co-managing the shitpile. What will liberate women, therefore, from male control is the total elimination of the money-work system, not the attainment of economic equality with men within it.
2. 돈은 남자들에게 본인들이 '쓸모있는 존재'일 수 있다는 환상을 제공하고, 그가 땅을 파고 다시 메우는 (쓸데없는) 일을 하게 함으로서 자신의 존재를 정당화 하게 만든다. 여가 시간은 남자들을 두려워하게 만드는데, 왜냐하면 그 시간들은 남자로 하여금 자신이 끔찍한 존재라는 것만을 곱씹어보게 만들기 때문이다. 누군가와 진정한 관계를 형성하거나 사랑할 수 없기 때문에, 남자들은 결국 일을 해야 한다. 여성들은 흡수적이고 감정적으로 만족스러운 의미 있는 활동을 갈망하지만, 이러한 기회나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의 선택에 따라 게으르고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선호한다 -- 잠을 자거나, 쇼핑하거나, 볼링을 치거나, 당구를 치거나, 카드와 다른 게임을 하거나, 번식을 하거나, 독서를 하거나, 돌아다니거나, 공상하거나, 먹거나, 자신과 놀거나, 약을 복용하거나, 영화를 보거나, 분석을 받거나, 여행하거나, 개와 고양이를 기르거나, 해변에서 게으르게 누워 있거나, 수영을 하거나, TV를 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집을 꾸미거나, 정원을 가꾸거나, 바느질을 하거나, 나이트클럽에 가거나, 춤을 추거나, 방문하거나, '정신을 개발'하거나 (강의를 듣거나), '문화'를 흡수하는 것 (강의, 연극, 음악회, '예술적인' 영화 등)을 한다. 따라서 많은 여성들은 성별 간 완전한 경제적 평등이 이루어진다 할지라도, 지루하고 무의미한 비창의적인 일을 남을 위해 오랜 시간 하는 것보다 아마 결국 남성과 함께 살거나 거리에서 몸을 팔며 대부분의 시간을 자신을 위해 사용하는 것을 선호할 것이다. 이는 동물 이하로 기능하거나 기계처럼 일하거나, 최악의 경우 '좋은' 직장을 얻어도 쓰레기 더미를 공동 관리하는 것보다 낫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들이 남성의 통제에서 진정으로 벗어 날 수 있는 방법은 남성과의 동등한 경제적 능력과 평등을 달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 사회에서 돈-일 시스템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 뿐이다.
-----
-----
[14] 3. Power and control. Unmasterful in his personal relations with women, the male attains to masterfulness by the manipulation of money and everything controlled by money, in other words, of everything and everybody.
3. 권력과 통제. 여성과의 개인적인 관계에서 능숙하지 못한 남성은 돈과 돈에 의해 통제되는 모든 것, 즉 모든 것과 모든 사람을 조작함으로써 권력을 얻는다.
-----
-----
[15] 4. Love substitute. Unable to give love or affection, the male gives money. It makes him feel motherly. The mother gives milk; he gives bread. He is the Breadwinner.
4. 사랑의 대체물. 사랑이나 애정을 줄 수 없는 남성은 돈을 준다. 돈을 줄때 남자들은 자신들이 어머니가 된다고 생각한다. 어머니는 우유를 주고; 그는 빵을 준다. 그는 빵을 주는 사람이다.
-----
-----
[16] 5. Provide the male with a goal. Incapable of enjoying the moment, the male needs something to look forward to, and money provides him with an eternal, never-ending goal: Just think of what you could do with 80 trillion dollars -- invest it! And in three years time you'd have 300 trillion dollars!!!
5. 남성에게 목표를 제공. 현재를 즐길 수 없는 남성은 기대할 만한 무언가가 필요하며, 돈은 그에게 영원하고 끝없는 목표를 제공한다: 80조 달러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라 -- 그것을 투자해라! 그리고 3년 후에는 300조 달러를 갖게 될 것이다!!!
-----
-----
[17] 6. Provide the basis for the male's major opportunity to control and manipulate -- fatherhood.
6. 남성이 기본적으로 사회를 주요하게 통제하고 조작할 기회를 제공한다. 가부장제를 만듦으로 해서.
-----
-----
[18] Fatherhood and Mental Illness (fear, cowardice, timidity, humility, insecurity, passivity): Mother wants what's best for her kids; Daddy only wants what's best for Daddy, that is peace and quiet, pandering to his delusion of dignity (`respect'), a good reflection on himself (status) and the opportunity to control and manipulate, or, if he's an `enlightened' father, to `give guidance'. His daughter, in addition, he wants sexually -- he givers her hand in marriage; the other part is for him. Daddy, unlike Mother, can never give in to his kids, as he must, at all costs, preserve his delusion of decisiveness, forcefulness, always-rightness and strength. Never getting one's way leads to lack of self-confidence in one's ability to cope with the world and to a passive acceptance of the status quo. Mother loves her kids, although she sometimes gets angry, but anger blows over quickly and even while it exists, doesn't preclude love and basic acceptance. Emotionally diseased Daddy doesn't love his kids; he approves of them -- if they're `good', that is, if they're nice, `respectful', obedient, subservient to his will, quiet and not given to unseemly displays of temper that would be most upsetting to Daddy's easily disturbed male nervous system -- in other words, if they're passive vegetables. If they're not `good', he doesn't get angry -- not if he's a modern, `civilized' father (the old-fashioned ranting, raving brute is preferable, as he is so ridiculous he can be easily despised) -- but rather express disapproval, a state that, unlike anger, endures and precludes a basic acceptance, leaving the kid with the feeling of worthlessness and a lifelong obsession wit being approved of; the result is fear of independent thought, as this leads to unconventional, disapproved of opinions and way of life.
가부장제와 정신 질환 (두려움, 겁, 소심함, 겸손, 불안정, 수동성): 어머니는 자녀들에게 가장 좋은 것을 원한다. 그러나 아버지는 오직 자기 자신에게 가장 좋은 것을 원한다. 그것은 그저 평화와 고요함, 자기 존엄에 대한 환상을 추구하는 것 (‘존경’), 자신에 대한 좋은 반영 (지위), 통제하고 조작할 기회, 아니면 '깨우친' 아버지라면 아마 ‘지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그들은 딸을 성적으로 이용한다. — 아버지들은 딸들에게 결혼을 제안하지만, 결국 본인 스스로를 위한 것이다. 아버지는 어머니와 달리 결코 자녀에게 양보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는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자기 자신이 결단력 있고, 강압적이며, 항상 옳고, 강한 사람이라는 환상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신의 뜻대로 할수 없다는 상황은 아이로 하여금 세상과 맞서 싸울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잃게 하고, 현상 유지에 대한 수동적인 수용을 가져온다. 어머니는 자녀를 사랑한다, 비록 가끔 화를 내기도 하지만, 화는 금방 가라앉고, 그것이 존재하는 동안에도 사랑과 기본적인 수용을 막지는 않는다. 감정적으로 병든 아버지는 자녀를 사랑하지 않는다; 그는 자녀를 ‘좋다’고 인정한다 — 즉, 자녀가 좋고, ‘존경받을 만하며’, 순종적이고, 그의 의지에 복종하며, 조용하고, 아버지의 쉽게 흔들리는 남성 신경계를 자극할 수 있는 감정적 폭발을 보이지 않을 때 — 다시 말해, 자녀가 수동적이고 무기력한 존재일 때만 인정한다. 아이들이 ‘착하지’ 않다면, 그는 화를 내지 않는다—적어도 그가 현대적이고 ‘문명화된’ 아버지라면 그렇다. (차라리 구식의 소리 지르고 날뛰는 난폭한 아버지가 더 낫다. 그는 너무 우스워서 쉽게 경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그는 불만을 표시하는데, 이는 분노와 달리 오래 지속되며 기본적인 수용마저 배제한다. 그 결과, 아이는 자신이 무가치하다는 감각에 사로잡히고, 평생 인정받고자 하는 강박에 시달리게 된다. 그리고 이는 독립적인 사고에 대한 두려움으로 이어지며, 결국 사회적으로 승인되지 않은 비전통적인 의견과 삶의 방식을 피하게 만든다.
-----
-----
[19] For the kid to want Daddy's approval it must respect Daddy, and being garbage, Daddy can make sure that he is respected only by remaining aloof, by distantness, by acting on the precept of `familiarity breeds contempt', which is, of course, true, if one is contemptible. By being distant and aloof, he is able to remain unknown, mysterious, and thereby, to inspire fear (`respect').
아이가 아버지의 인정을 원하게 만들려면, 아버지를 존경해야 한다. 하지만 쓰레기 같은 아버지는 거리감을 유지하고, 멀리 떨어져 있으며, ‘친숙함은 경멸을 낳는다’는 원칙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존경을 강요할 수밖에 없다. 물론, 누군가가 경멸받을 만한 존재라면, 이 원칙은 사실이다. 아버지는 거리를 두고 냉담한 태도를 보임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알 수 없게 만들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조성하며, 결국 두려움 (‘존경’)을 불러일으킨다.
-----
-----
[20] Disapproval of emotional `scenes' leads to fear of strong emotion, fear of one's own anger and hatred. Fear of anger and hatred combined with a lack of self-confidence in one's ability to cope with and change the world, or even to affect in the slightest way one's own destiny, leads to a mindless belief that the world and most people in it are nice and the most banal, trivial amusements are great fun and deeply pleasurable.
감정적인 ‘소란’에 대한 통제는 강한 감정에 대한 두려움을 낳고, 결국 자신의 분노와 증오조차 두려워하게 만든다. 분노와 증오에 대한 두려움이, 세상을 바꾸거나 심지어 자신의 운명에 조금이라도 영향을 미칠 능력에 대한 자신감 부족과 결합될 때, 그것은 맹목적인 믿음으로 이어진다—즉, 세상과 그 안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본래 착하며, 가장 평범하고 사소한 오락거리조차도 엄청난 재미와 깊은 즐거움을 줄 수 있다는 착각 속에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
-----
[21] The affect of fatherhood on males, specifically, is to make them `Men', that is, highly defensive of all impulses to passivity, faggotry, and of desires to be female. Every boy wants to imitate his mother, be her, fuse with her, but Daddy forbids this; he is the mother; he gets to fuse with her. So he tells the boy, sometimes directly, sometimes indirectly, to not be a sissy, to act like a `Man'. The boy, scared shitless of and `respecting' his father, complies, and becomes just like Daddy, that model of `Man'-hood, the all-American ideal -- the well-behaved heterosexual dullard.
가부장제가 남성에게 미치는 영향은 그들을 ‘남자’로 만드는 것이다. 즉, 수동적인 충동, ‘호모성’, 그리고 여성이 되고 싶은 욕망에 대해 강하게 방어적인 존재로 만드는 것이다. 모든 소년은 어머니를 모방하고, 그녀가 되고 싶어 하며, 그녀와 하나가 되기를 원한다. 그러나 아버지는 이를 금지한다. 어머니와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은 오직 자신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아들에게, 때로는 직접적으로, 때로는 간접적으로, ‘계집애처럼 굴지 말라’, ‘남자답게 행동하라’고 가르친다. 아버지를 두려워하고 ‘존경’하는 소년은 그 말을 따르며, 결국 아버지를 닮아간다. 그렇게 그는 ‘남자다움’의 전형이자 전형적인 미국식 이상형—잘 길들여진 이성애자 바보—이 되어간다.
-----
-----
[22] The effect of fatherhood on females is to make them male -- dependent, passive, domestic, animalistic, insecure, approval and security seekers, cowardly, humble, `respectful' of authorities and men, closed, not fully responsive, half-dead, trivial, dull, conventional, flattened-out and thoroughly contemptible. Daddy's Girl, always tense and fearful, uncool, unanalytical, lacking objectivity, appraises Daddy, and thereafter, other men, against a background of fear (`respect') and is not only unable to see the empty shell behind the facade, but accepts the male definition of himself as superior, as a female, and of herself, as inferior, as a male, which, thanks to Daddy, she really is.
22. 가부장제로의 속박은 여자들을 결국 남성처럼 만들게 한다 -- 의존적이고, 수동적이며, 집안중심적이고, 동물적이며, 불안정하고, 승인과 안정감을 추구하며, 비겁하고, 초라하고, 권위와 남성에게 '존경'을 표하며, 폐쇄적이고, 혼자 책임지지 않고, 반쯤 죽은 듯하고, 사소하고, 둔감하며, 전통적이고, 평평하게 눌려 있으며 철저히 경멸스러운 존재가 된다. 아버지의 딸은 항상 긴장하고 두려워하며, 쿨하지 않고, 분석적이지 않으며, 객관성이 부족하고, 아버지를 평가하며, 이후 다른 남성들도 두려움 (‘존경’)을 배경으로 평가한다. 그녀는 외관 뒤에 있는 빈 껍데기를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남성이 우월하다고 여성이 열등하다고 정의하는 것을 받아들이며, 그것 역시 아버지 덕분이라 여긴다.
-----
-----
[23] It is the increase of fatherhood, resulting from the increased and more widespread affluence that fatherhood needs in order to thrive, that has caused the general increase of mindlessness and the decline of women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1920s. The close association of affluence with fatherhood has led, for the most part, to only the wrong girls, namely, the `privileged' middle class girls, getting `educated'.
1920년대 이후 미국에서 여성의 지위가 하락하고 사회 전반에 무분별함이 증가한 주요 원인은 가부장제의 확대로 볼 수 있다. 이는 가부장제가 번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와 그것의 확산이 증가한 결과이다. 부와 가부장제가 밀접하게 연결되면서, 주로 '특권층'에 속하는 중산층 소녀들만이 '교육을 받는' 잘못된 현상이 나타났다.
-----
-----
[24] The effect of fathers, in sum, has been to corrode the world with maleness. The male has a negative Midas Touch -- everything he touches turns to shit.
결국 아버지라는 존재는 남성성을 통해 세상을 부패시켜 왔다. 남성은 부정적인 마이더스의 손을 가진 듯, 그가 손대는 모든 것이 엉망이 되고 만다.
-----
-----
[25] Suppression of Individuality, Animalism (domesticity and motherhood), and Functionalism: The male is just a bunch of conditioned reflexes, incapable of a mentally free response; he is tied to he earliest conditioning, determined completely by his past experiences. His earliest experiences are with his mother, and he is throughout his life tied to her. It never becomes completely clear to the make that he is not part of his mother, that he is he and she is she.
개별성의 억압, 동물성(가정과 모성), 그리고 기능주의: 남성은 단지 조건화된 반사작용의 집합체일 뿐이며, 정신적으로 자유로운 반응을 할 능력이 없다. 그는 초기의 조건화에 묶여 있으며, 자신의 과거 경험에 완전히 지배된다. 그의 초기 경험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비롯되며, 그는 평생 동안 어머니에게 얽매여 있다. 남성은 자신이 어머니의 일부가 아니라는 것, 즉 자신은 자신이고 어머니는 어머니라는 사실을 완전히 깨닫지 못한다.
-----
-----
[26] His greatest need is to be guided, sheltered, protected and admired by Mama (men expect women to adore what men shrink from in horror -- themselves) and, being completely physical, he yearns to spend his time (that's not spent `out in the world' grimly defending against his passivity) wallowing in basic animal activities -- eating, sleeping, shitting, relaxing and being soothed by Mama. Passive, rattle-headed Daddy's Girl, ever eager for approval, for a pat on the head, for the `respect' if any passing piece of garbage, is easily reduced to Mama, mindless administrator to physical needs, soother of the weary, apey brow, booster of the tiny ego, appreciator of the contemptible, a hot water bottle with tits.
그의 가장 큰 욕구는 어머니에게 인도받고, 보호받으며, 감싸주고, 존경받는 것이다 (남자들은 여자가 자신들을 두려워 하며 피하는 것, 즉 자신들을 숭배하기를 기대한다). 그는 세상 밖에서 자신의 수동성에 맞서 싸우기 보단, 완전히 육체적인 존재로서 자신의 시간을 보내고 싶어 한다. 그가 원하는 것은 기본적인 동물적 활동들에 빠져드는 것이다 - 먹고, 자고, 배설하고, 쉬며 어머니에게 위로받는 것이다. 수동적이고 정신없이 떠는 아버지의 딸은 언제나 승인을 갈망하며, 머리 한 번 쓰다듬어주기를, 그런 쓰레기 새끼로 부터 ‘존경’을 받기를 바란다. 그녀는 쉽게 어머니라는 존재로 축소된다, 육체적 필요를 채워주는 무심한 관리자, 지친 아픔을 달래주는 존재, 작은 자아를 북돋아주는 존재, 경멸할 만한 것들을 칭찬하는 존재, 가슴이 달린 따뜻한 물병 같은 존재로.
-----
-----
[27] The reduction to animals of the women of the most backward segment of society -- the `privileged, educated' middle-class, the backwash of humanity -- where Daddy reigns supreme, has been so thorough that they try to groove on labour pains and lie around in the most advanced nation in the world in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with babies chomping away on their tits. It's not for the kids sake, though, that the `experts' tell women that Mama should stay home and grovel in animalism, but for Daddy's; the tits for Daddy to hang onto; the labor pains for Daddy to vicariously groove on (half dead, he needs awfully strong stimuli to make him respond).
가장 뒤처진 사회 계층인 ‘특권을 가진, 교육받은’ 중산층 여성들은 아버지가 절대적인 권력을 가진 사회에서 마치 동물과 같은 위치로 전락해 버렸다. 그들은 20세기 중반,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나라에서 고통을 겪으며 아이들에게 젖을 물리는 것을 일상처럼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여성이 집에서 동물처럼 살아가야 한다고 말하는 이유는 아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아버지를 위한 것이다. 아버지가 붙잡을 수 있는 여자 젖, 그리고 아버지가 대신 고통을 느끼며 즐기도록 하기 위한 노동의 고통, 모두 아버지의 욕구를 채우기 위한 것이다 (남자들은 거의 죽을 지경의 강한 자극이 있어야만 반응을 한다.)
-----
-----
[28] Reducing the female to an animal, to Mama, to a male, is necessary for psychological as well as practical reasons: the male is a mere member of the species, interchangeable with every other male. He has no deep-seated individuality, which stems from what intrigues you, what outside yourself absorbs you, what you're in relation to. Completely self-absorbed, capable of being in relation only to their bodies and physical sensations, males differ from each other only to the degree and in the ways they attempt to defend against their passivity and against their desire to be female.
여성을 동물이나 어머니, 남성으로 축소시키는 것은 심리적이거나 실용적인 이유에서 필요하다. 남성은 단지 종족의 한 구성원에 불과하고, 다른 남성과 교환 가능하다. 남자들은 깊은 개성을 갖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개성은 자신을 흥미롭게 만드는 것, 자신을 넘어서서 관심을 갖는 것, 그리고 다른 것들과 관계를 맺는 것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남성은 자기 자신에게만 몰두하며, 오직 자신의 몸과 신체적 감각에만 반응할 수 있다. 남성들 사이의 차이는 그들이 자신의 수동성이나 여성적인 욕망을 어떻게 피하려고 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
-----
[29] The female's individuality, which he is acutely aware of, but which he doesn't comprehend and isn't capable of relating to or grasping emotionally, frightens and upsets him and fills him with envy. So he denies it in her and proceeds to define everyone in terms of his or her function or use, assigning to himself, of course,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 doctor, president, scientist -- therefore providing himself with an identity, if not individuality, and tries to convince himself and women (he's succeeded best at convincing women) that the female function is to bear and raise children and to relax, comfort and boost the ego if the male; that her function is such as to make her interchangeable with every other female. In actual fact, the female function is to relate, groove, love and be herself, irreplaceable by anyone else; the male function is to produce sperm. We now have sperm banks.
남성은 여성의 개성을 잘 알고 있지만,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감정적으로도 그와 관련을 맺을 수 없어서 그것이 그를 두렵고 불안하게 만들며, 질투심을 느끼게 한다. 그래서 그는 여성 안에서 그 개성을 부정하고, 사람들을 각자의 기능이나 용도로 정의하려 한다. 물론 그는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기능을 부여한다 — 의사, 대통령, 과학자 등 — 이렇게 해서 개성은 아니지만 자신만의 정체성을 얻으려 하고, 자신과 여성들에게 (특히 여성들에게) 여성의 역할은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 남성의 자아를 편안하게 해주고 위로하는 것이라고 설득하려 한다. 하지만 실제로 여성의 역할은 다른 사람으로 대체될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사랑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다. 반면, 남성의 역할은 정자를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정자은행까지 있다.
-----
-----
[30] In actual fact, the female function is to explore, discover, invent, solve problems, crack jokes, make music -- all with love. In other words, create a magic world.
실제로, 여자의 역할은 탐험하고, 발견하고, 발명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농담을 하고, 음악을 만드는 것이다. 다시 말해, 진심 어린 사랑을 담은 마법의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
PART 1 (1/3)
END